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일속에서 재미와 열정을 느끼는 이유 일속에서 재미와 열정을 느끼는 이유 사람들은 1. 자신이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느낌을 받거나 (sense of meaningfulness)  2. 그 일을 할 때 자신에게선택권이 있다는 느낌(sense of choice)3. 그 일을 할만한 기술과 지식을갖추고 있다는 느낌(sense of competence)4. 실제로 진보하고 있다는느낌을 갖게 될 때 일속에서 재미와 열정을 느낀다. (sense of progress) - Kenneth W. Thomas (2000).Intrinsic Motivation at work 돈이 없어서,혹은 복리후생 수준이 떨어져서직원들이 열정과 헌신,몰입을 다하지 않는다고생각하는 경영자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직원의 마음을 사는 데돈은 그렇게 결정적인 요소가 아닙니다. .. 더보기
다시 말하고 또 말하라 다시 말하고 또 말하라  같은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하다보면지겨워진다.그래서 이야기하는 방식을 바꾸거나 짧게 줄이거나 한다.하도 자주 말해서 아무도 듣고 싶어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그러나 멈추면 안된다. 아무리 이야기해도 충분치 한다. - 크리스토퍼 나세타(힐튼 월드와이드 회장)  리더 혼자서 확고한 비전과명확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는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 모두가 비전과 목표와 계획을 완벽하게 이해해서한 방향으로 정렬하고,  그 비전과 목표의 주인이 되어매일 아침 설레는 마음으로 출근할 수 있어야만 비전과 목표는비로소 현실이 됩니다. 완벽하게 알아들을 때까지, 비전의 주인이 될 때까지 말하고또 말해야 합니다.  다시 또 말하라한말을 또하고 또하고 또하고몇 .. 더보기
창조적 인재를 보호하는 방법 창조적 인재를 보호하는 방법  💡만약 당신이 최고경영자이며회사의 실적을 비약적으로 높이고 싶다면우수한 인재에게 너무 많은 일을 시켜서는 안된다. 우수한 인재가 지나치게 많은 업무를맡다보면 그 사람이 지니고 있는가장 소중한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줄어들기 때문이다. 여기서 가장 소중한 능력이란새로운 것을 창출해내는 능력을 말한다. 우수한 인재에게'자유로운 시간'을 주는 것만큼효율적인 전락은 없다 - 야스다 요시오,'만원짜리는 줍지마라'에서 Protecting Creative Talents by Giving Them Free Time 일반적으로 일은 핵심인재에게 몰리는경향이 있습니다.맞습니다. 일 못하는 사람의 일을 빼내서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맡겨버리기 때문이죠.그렇게 하면,물론 당장의 성과는 높아질 것입니다.. 더보기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사람들은 네가 한말이나행동은 기억 못해도,네가 그들에게 어떤 기분을느끼게 했는지는언제나 기억할거야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ㅡ 마야 안젤루"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라고 언급한마야 안젤루는 미국의 시인, 작가, 배우로유명하죠~유년시절 문학을 알게되었고, 마틴 루터킹 목사와 말콤 엑스 등과 함께 일하며,자기 삶을 객관화 할수 있는 계기였으며, 라는 일상 사적 경험을 토대로 글과 연기로춤과 노래로 세상에 알렸죠~그로 하여 오프라 원프리, 미셀 오바마를 비롯한수많은 이들이 힘과 용기와 희망을 얻었다고합니다. 그만큼 마야 안젤루는 우리 일상에서미처 알지 못했던 다양함을 일깨워준 위인이기도 합니다. "으음~우와~ 여기서 잠깐_________________빗대어.. 더보기
집중력의 힘! 집중력의 힘 많은 사람들이 정해진 시간을 한가지 방향으로만 사용하고 한가지 목표에만 집중한다면 그들은 성공할 것이다. 문제는 사람들이 다른 모든 것을 포기하고 매달리는 단 한가지 목표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토마스 에디슨 '제대로 집중하면 6시간 걸릴 일을 30분 만에 끝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30분이면 끝낼 일을 6시간해도 끝내지 못합니다. - 아인슈타인 하늘과 땅 차이만큼 큽니다. 시간과 공간을 잊어버리는 무아지경, 즉 몰입 Flow상태에서 일하는 것이 그래서 매우 중요합니다. 몰입. FLOW. 무아지경. 더보기
미래를 엿보고 돌아오면 걱정이 없다고? 미래를 엿보고 돌아오면 걱정이 없다고? 바둑 고수는 방금 둔 돌 옆에 다음 돌을 놓지 않는다. 완전히 다른 곳에 돌을 놓는다. 현재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포석이다. 내가 하려는 일도 그렇다. 영화 '백 투 더 퓨처'와 같다 미래를 엿보고 돌아오면 걱정이 없다. -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 미래를 만든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하지만 미래를 만들지 않으려 하는 것 보다는 덜 위험하다. 이런 시도를 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시도하지 않으면 아무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 - 피터 드러커 도전 시도 현재 지혜 상상 창조 숙련 육감 직감 긍정 기여 결과 주다 받다 등 키워드가 떠오른다. 무한 상상이 곧 현실이 된다. / 이 모든 과정은 문제 해결력이 좌우하지 않을까? ㅡ a .. 더보기
바람직한 영향력이란 무엇일까? 바람직한 영향력 합리적인 권위는 능력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이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비합리적인 권위는 힘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것에 종속된 사람을 착취하는데 봉사한다 - 에리히 프롬 바람직한 영향력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의 중요성이란 무엇일까요? START 비전 인간존중과 배려 솔선수범 감성 동기부여 정직 성실 경청과 칭찬 섬김과 봉사.. 이런 것들이야말로 바람직한 영향력의 원천이라고 합니다. 완벽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나는 과연 어떨까? 이모든 능력을 갖추려면 세상에나 ~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 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위 글 속에 내포된 정의를 흡수하고 있다면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비장의 무기처럼 등장해 해결사가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아무튼 지금 삶 모두.. 더보기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라고 질문할 것이 아니라, 미래를 어떻게 만들고 싶은가?라고 자문해야 할 것이다. 미래라는 것은 예측하기보다 오히려 비전으로 생각하며 그려내야 한다. 예측은 빗나가기 때문이다. - 야마구치 슈,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에서 예 측 과 창 조 엘렌 케이는 '미래를 예측하는 최선의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상상력은 미래의 예고편이다' 라고 했습니다. 미래는 예측하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고 꿈꾸고 열정을 다해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 예측은 결국 상상이 만든 결과 일까? 무엇을 예측한다는 것.. 지금 이 순간 생각하고, 행하는 것에 따라 결과물이 예측했던 것으로 무빙 한것 아닐까? .. 더보기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한들 현자(賢者)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사람이고, 부자(富者)는 자기가 가진 것에 만족하는 사람이다. 강자(强者)는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사람이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쉽게 이룰 수 있다. - 이명환, 전 동부그룹 부회장 - 현자, 부자, 강자 현 부 강 강하게 마음먹고 그대로 실천하면누구나 지혜와 부를 얻을 강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읽지 않고, 세상을 보고 배우기 위해 돌아다니지 아니하며, 전문가들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영자는 나쁜 경영자다.’라고 말하는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 주장도 생각나게 합니다. - 행복한 경영이야기(오늘의 행경) ㅡ a shaft of inspiratio.. 더보기
공을 이루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이치다 공을 이루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이치다 지녔으면서도 더 채우려는 것은 그치는 것만 못하다. 무슨 일이든 가치가 있다고 해서 늘리고 늘려 넘쳐흐를 때까지 채우는 것은 그만두어야 한다. 칼을 갈고 또 갈면 오히려 날이 쉽게 물러지듯, 무슨 일이든 지나치게 구하면 오래가지 못한다. 금과 옥이 집안에 가득한들 이를 끝까지 지킬 수 없고, 부귀하면서 오만하면 스스로 화를 부른다. - 노자 - 공을 이루면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이치 입니다. 교만하면 모든 것을 송두리째 잃는 것은 순식간 입니다. 자신을 과하게 드러내려고 하면 오히려 인정받지 못하고, 무리해서 보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상황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그 공을 인정받지 못하며, 거만한 사람은 다른 사람 위에 서지 못합니다. feat.. 더보기
열매를 준비하는 나무는 꽃을 남김없이 다 떨어뜨린다 열매를 준비하는 나무는 꽃을 남김없이 다 떨어뜨린다. 현상은 복잡하다. 법칙은 단순하다. 버릴 게 무엇인지 알아내라. 핵심을 잡으려면 잘 버릴 수 있어야 한다. 핵심에 집중한다는 것은 잘 버린다는 것과 같은 얘기이다. - 리차드 파인만 열매를 준비하는 나무는 꽃을 남김없이 다 떨어뜨린다. 이는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을까? 즉 현재 삶은 복잡하나 어떤 법칙이 필연적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면? 버릴게, 그리고 내려 놓을 수 밖에 없는 그것이 무엇인지알고 행함이 나에게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생산성일 것이다. feat_순환 큰 것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버릴 줄 알아야 합니다. 버려야 더 새롭게 더 많이 채울 수 있습니다. "어떤 순환이란 결국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 더보기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행복은 깊이 느끼고, 단순하게 즐기고, 자유롭게 사고하고, 삶에 도전하고, 남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는 능력에서 나온다. Happiness comes of the capacity to feel deeply, to enjoy simply, to think freely, to risk life, to be need - 스톰 제인슨 그렇다 현재 나는 얼마나 행복한가 나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있을까? 과연 내면 깊은 곳에서 나는 행복을 느끼려 하는지, 머리가 복잡한 것을 단순화하고, 자유롭게 사고하며, 즐길 수 있는도전적 긍정 에너지를 얼마나 지니고 있는지... 그것이 지금 이 순간 매 순간이 내 삶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준 행복의 선물이겠지? feat_yo! 나를 위한 삶 매순간 나.. 더보기
지혜로 가는 길 지혜로 가는 길 지혜로 가는길 ? 지혜로 가는길 간단한다. 끝없이 실수하면 된다. 단, 실수의 크기는 점점 줄어들어야 한다. 지혜로 가는길 ㅡ 피에트 하인, (덴마크의 발명가이자 시인) " 지혜로 가는길 훌륭한 리더라면 실패를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고, ' 용서하며 기억하는 ' 문화를 만들어 내야 한다는 것인데요, 용서하며 기억하는 문화 즉, 어떠한 사건이 일어나고 그에따른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는데요, 우리는 이때 가치판단에 따른 실패와 성공의 결과론을 두고, 논쟁을 펼치게 됩니다. 인용하면, 지혜로 가는길이란 첫째, 실패라는 사건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실패한 사람을 구제불능으로 몰아가서는 안된다. 둘째, 새로운 시도에서 비롯되는 실패는 얼마든지 괜찮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셋째, 실패할.. 더보기
갈등 예찬 갈등 예찬 " 갈등 예찬이란 의미가 내포된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 갈등을 조율하지 못하면 집단이 망가질 수 있지만, 갈등이 없으면 권태와 무관심이 생겨난다. 갈등은 목표를 명확하게 하고, 서로의 차이를 드러내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억눌린 불만을 표출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갈등 예찬! 갈등은 곧 부정의 의미가 아닌 변화를 위해 필요한 피드백같은 요소라고 강조하는 그 이유가 있겠죠? " 갈등예찬을 조용탁님이 풀어낸 의미를 이어 풀어 옮겨 봅니다." 작은 차이가 다른 생각을 유도하기 때문에 긴장과 갈등이 창의력으로 이어집니다.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어떤 아이디어를 보라고 강요받으면 새로운 것을 보게 되기도 합니다. 긴장과 갈등이 사라지면 모두가 비슷하게 생각하기 시작하여 원래 가진 다양한 의견들까지 .. 더보기
시간을 내서 자신에게 베풀고, 자신을 가득채워서 남들에게 베풀 수 있게 하라 시간을 내서 자신에게 베풀고, 자신을 가득채워서 남들에게 베풀 수 있게 하라 스스로 자신의 해결책이 되어라. 남한테 "부디 나를 데려가세요. 그리고 내게 더 많이 주세요"라고 말하지 마라. 대신 스스로 자신에게 더 많이 베풀어라. 시간을 내서 자신에게 베풀고, 자신을 가득채워서 남들에게 베풀 수 있게 하라. 시간을 내서 자신에게 베풀고, 자신을 가득채워서 남들에게 베풀 수 있게 하라 ㅡ 존 그레이 박사 " 사람은 누구에게나 기대고싶고, 받고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하죠~ 무작정 누군가에게 나를 데려가주세요. 나를 사랑해주세요. 그 원대한 나의 바램은 나 스스로에게 더 많이 베풀다보면 어느새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그런 사람이 되어가고 있지 않을까요. 일상.. 더보기